Art/Acroama 썸네일형 리스트형 [AIart] 기술 이전에 인간의 예술을 이해해야한다 예술 근처 어디쯤 Day.8 4차 산업혁명 시대, 예술창작환경은 끊임없이 변화합니다. 미래의 예술 창작을 활성화하고 융합 예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할까요? 그 해답을 찾고자 융합예술 강연프로그램 커넥트 투모로우 Connect TMRW를 수강하였습니다. 기존에 알고있는 예술의 재정립 예술의 정의는 무엇일까요? : 미적 작품을 형성시키는 인간의 창조활동 사전적 정의에서 예술은 '인간'이란 조건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질문을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아닌 행위가 예술을 할 수 있을까? 인간을 보고배운 인공지능이 하는 행위는 예술이 될 수 있는가?? 예술을 하는 기계는 굉장히 오래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무려 1950년대부터 이러한 시도가 있었습니다. songwriti.. 더보기 AI시대, 인공지능과 안무가의 새로운 협업 이제껏 무용 분야에서 테크놀로지의 입지는 제한적이었다. 거울을 이용한 만화경 효과를 활용해 무용수들의 이미지를 스크린으로 확장하는 것으로 유명한 필립 드쿠플레나 르네 마그리트의 회화를 연상시키는 초현실적인 영상과 무대 위 무용수들의 인터랙션을 도모하는 조세 몽탈보 등 ‘테크놀로지’를 키워드 삼는 안무가들이 있긴 하지만, 대체로 ‘영상과 무대의 만남’이라는 전통적인 방식을 벗어나지 못했다. 하지만 웨인 맥그리거는 뇌과학과 AI 기술을 안무에 반영해 인간의 움직임과 첨단 테크놀로지를 하나로 융합시켰다는 점에서 전혀 차원이 다르다. 이런 독특한 시도를 하는 무용가는 그가 독보적이다. 모두가 ‘실험’을 말하지만, 웨인 맥그리거야말로 진짜 ‘실험’을 한다. 무용수들이 3D 안경을 쓰고 소프트웨어로 구동되는 거울 .. 더보기 예술 분야에서 인공지능 강연이라니 예술 분야에서 인공지능 강연이라니 예술경영지원센터 온라인 강연 빅데이터를 공부하는 사람으로서 나에게 꿈이 있다. 이러한 기술의 영역을 예술 분야에 접목시키겠다는 것이다. 하지만 뭐든지 말은 쉽다. 창업을 도전하면서 아이템으로 내세운 빅데이터를 통한 예술계 광고 마케팅은 실현시키기에 너무나도 많은 문제점을 지니고 있었다. 예술계 사람들을 만나 설득해보아도 빅데이터의 능력을 제대로 받아들이는 대표님은 만나기 힘들었다. 더 큰 문제는 공연 관객들을 분류할 데이터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KOPIS의 자료를 의지하기에는 아직 모든 공연기관의 데이터를 취급하지 못하고 있다. 빅데이터를 실현시킬 최소한의 데이터를 찾기가 너무나도 어려웠다. 내가 너무 허왕된 꿈을 꾸고 있나 자책만 들고 있던 요즘이었다. 예술경영.. 더보기 이전 1 다음